공부/알고리즘 (c++)
그래프 기초
원클릭쓰리버그
2022. 1. 16. 21:59
728x90

흔히 쓰이는 그래프 모습이다.
데이터(사물, 개념 등) : 정점
정점을 이어주는 선 : 간선
으로 이루어져 있다. 지금 보는 그래프는 방향이 없는 양방향성 그래프이지만,
방향이 있는 그래프는 방향성, 가중치가 부여된 그래프는 가중치 그래프라고 이야기한다. 맞나? 가물가물한데...
- 방향 그래프 : 간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(간선에 화살표가 있으면 방향그래프)
- 무방향 그래프 : 간선에 방향이 없는 그래프
- 연결 그래프 : 두 정점 사이에 경로가 존재하는 그래프
- 완전 그래프 : 한 정점에서 모든 다른 정점과 연결되어 최대의 간선수를 가지는 그래프
인터넷에 검색해봤다. 역시 프로그래머는 구글링이지!
강의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노드 기초 작업을 구현해놓았다.
1.
void CreateGraph_1()
{
struct Vertex
{
vector<Vertex*> edges;
// 정점을 연결해주는 선.
};
vector<Vertex> v;
v.resize(6); // 정점의 갯수는 6
v[0].edges.push_back(&v[1]);
v[0].edges.push_back(&v[3]);
v[1].edges.push_back(&v[0]);
v[1].edges.push_back(&v[2]);
v[1].edges.push_back(&v[3]);
v[3].edges.push_back(&v[4]);
v[5].edges.push_back(&v[4]);
// Q) 0 -> 3번 정점이 연결되어 있나요?
bool connected = false;
for (Vertex* edge : v[0].edges)
{
cout << edge << endl;
if (edge == &v[3])
{
connected = true;
break;
}
}
}
내가 알고 있던 기본적인 구조이다.
2.
void CreateGraph_2()
{
vector<vector<int>> adjacent(6);
adjacent[0] = { 1,3 };
adjacent[1] = { 0,2,3 };
adjacent[3] = { 4 };
adjacent[5] = { 4 };
bool connected = false;
for (int vertex : adjacent[0])
{
if (vertex == 3)
{
connected = true;
break;
}
}
vector<int>& adj = adjacent[0];
bool sonnected2 = (std::find(adj.begin(), adj.end(), 3) != adj.end());
}
좀 더 보기 편한 구조인 듯 하다.
저기 for 문을 보면 처음보는 구조라서 처음엔 의아해 했는데, int vertex에 adjacent[0] 메모리에 있는 값을 하나씩 추출하여 돌아가는 구조이다. 배열을 출력할때, 저런 방법이 있는지 처음 알았는데 참고해야겠다.

3.
void CreateGraph_3()
{
//읽는 방법 : adjacent[from][to]
//행렬을 이용한 그래프 표현(2차원 배열)
//메모리 소모가 심하지만, 빠른 접근이 가능하다.
// 간선이 많은 경우 이점이 있다.
vector<vector<bool>> adjacent(6, vector<bool>(6,false));
adjacent[0][1] = true;
adjacent[0][3] = true;
adjacent[1][0] = true;
adjacent[1][2] = true;
adjacent[1][3] = true;
adjacent[3][4] = true;
adjacent[5][4] = true;
bool connected = adjacent[0][3];
vector<vector<int>> adjacent2 =
{
vector<int>{-1,15,-1,35,-1,-1},
vector<int>{15,-1,-+5,10,-1,-1},
vector<int>{-1,-1,-1,-1,-1,-1},
vector<int>{-1,-1,-1,-1,+5,-1},
vector<int>{-1,-1,-1,-1,-1,-1},
vector<int>{-1,-1,-1,-1,+5,-1},
};
}
이건 bool값을 이용한 건데 개인적으로 내 취향인 코드이다. 하지만 그래프에 값을 등록하는게 너무 지저분해 보인다는 단점이 있는 거 같다.